정향나무 분재 라일락의 원종인 정향나무나무입니다. 백두대간의 해발 1,000m 이상의 고산지대에 주로 사는 나무로서 나무의 이름은 꽃이 한자의 고무래 정(丁)자를 닮은 향기가 진한 나무라 해서 붙여졌다고 합니다. 아침 저녁으로 쌀쌀한 날씨임에도 불구하고 일찍 눈을 틔워서 녹음이 무성하게 되었네요. 하단부는 수세가 강하고 수관부는 약하여 하단부의 길게 자란 순을 잘라주었습니다. 고태가 확연한 개체라서 보는 맛이 좋습니다. 나의 분재/라일락 2022.04.08
나목이 된 정향나무 라일락의 원종인 정향나무로 추정되는 나무입니다. 백두대간의 해발 1,000m 이상의 고산지대에 주로 사는 나무로서 나무의 이름은 꽃이 한자의 고무래 정(丁)자를 닮은 향기가 진한 나무라 해서 붙여졌다고 합니다. 내년 봄에 꽃이 피는 모습이 궁금한 고목의 정향나무입니다. 나의 분재/라일락 2022.01.07
정향나무 분재 단풍 토종 라일락이라고 할 수 있는 정향나무는 백두대간의 해발 1,000이상의 고산지대에 주로 사는 나무로 나무의 이름은 꽃이 한자의 고무래 정(丁)자를 닮은 향기가 진한 나무라 해서 붙여졌다고 합니다. 이제 막 단풍이 들 무렵에 촬영된 모습인데, 지금은 나목이 되었지요. 내년 봄에 꽃이 피는 모습이 궁금한 고목의 정향나무입니다. 나의 분재/라일락 2021.11.08
정향나무 분재 잡곡 중의 하나인 수수 이삭을 닮은 꽃이 핀다고 해서 그 이름이 붙여진 수수꽃다리속의 대표적인 나무들은 라일락, 수수꽃다리, 정향나무, 미스김라일락 입니다. 토종 라일락이라고 할 수 있는 수수꽂다리와 정향나무, 정향나무의 개량종인 미스김라일락을 주로 식재하고 있는 추세입니다. 정향나무는 백두대간의 해발 1000이상의 고산지대에 주로 사는 나무로 지리산, 덕유산, 오대산, 설악산 등에서 발견된 것으로 보고되어 있습니다. 나무의 이름은 꽃이 한자의 고무래 정(丁)자를 닮은 향기가 진한 나무라 해서 붙여졌다고 합니다. 수수꽃다리는 주로 북한이나 중국 동북부에서 자생하던 식물이나 해방 전에 남한에도 심어졌으며 지금은 대량 증식에 성공해 많이 재배되고 있습니다. [출처] 41.미스김라일락ㆍ정향나무ㆍ수수꽃다리 어떻.. 나의 분재/라일락 2021.07.09
미스킴 라일락 진한 향으로, 자잘한 잎의 싱그러움으로 기쁨을 주었던 라일락이 깊은 잠에 빠졌습니다. 처음엔 마지막 사진과 같은 모습이였는데, 작년에 문인풍으로 개작을 하여 멋을 내어 보았습니다. 단순한 분목이 모습을 바꿈으로써 분재다워 졌습니다. 내년 봄의 진한 라일락향이 벌써 그리워 지.. 나의 분재/라일락 2015.12.12
수형조정 후의 라일락분재 미스킴라일락입니다. 당초 삼간의 수형이 단간으로 바뀌면서 작은 분 위에 올랐습니다. 미적 판단의 기준은 개개인마다 다르겠지만, 저는 이 수형을 선택했습니다. 본래대로 삼간, 또는 쌍간으로 가꾸어 갈 수도 있겠지요. 자연의 상태에서는 수형조정 전의 두 번째 사진의 모습이 많을 .. 나의 분재/라일락 2015.07.18
미스킴라일락 개화 미스킴라일락이 만개했습니다. 작은 개체이지만 분재하우스 안을 향기로 가득 채우네요. 우리의 토종 라일락은 수수꽃다리로, 중국에서는 정향나무로 불리우는데, 향이 너무 좋아 향수의 원료로도 쓰입니다. 아이러니하게도 우리의 수수꽃다리가 미국으로 건너 갔다가 미스킴라일락이.. 나의 분재/라일락 2015.05.03
미스킴라일락 분재 미스킴라일락입니다. 우리의 토종 라일락은 수수꽃다리로, 중국에서는 정향나무로 불리웁니다. 우리의 이 것을 미국인에 의해 육종된 것이 미스킴라일락인데, 역수입되어 들어와 우리의 토종을 압도하고 있네요. 당초 삼간이였는데, 분재다움이라는 미명 하에 외간으로 변신을 도모해 .. 나의 분재/라일락 2015.02.13
만개한 미스킴라일락분재 미스킴라일락이 만개를 했습니다. 둘 째 가라면 서러울 정도로 꽃향기가 좋은 수종이죠. 비록 체구는 작지만 분재하우스 안을 채우고도 남을 만한 향기를 발산하고 있습니다. 아직 연령이 적어서 분재라고 내세울 정도는 아니지만, 예쁜 잎 모양과 꽃향기에 반해서 가까이 두고 있습니다.. 나의 분재/라일락 2014.05.01
미스킴라일락 분재 미스킴 라일락이 한창 화기를 쏟아내고 있습니다. 라일락의 대명사, 향기가 너무 좋습니다. 라일락향을 원천으로 한 향수도 많이 개발이 되어 있지요. 우리의 토종 라일락은 수수꽃다리로, 중국에서는 정향나무라로 불리웁니다. 우리의 이 것을 미국인에 의해 육종된 것이 미스킴라일락.. 나의 분재/라일락 2013.04.28